`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17:07
본문
Download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hwp
설명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
중국 송과 고려 악장의 영향관계부터 조선 초까지 악장의 형성과정을 살펴 본 후, 세종 때부터 그 장르 범위가 넓어지고 무엇보다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국한문이 함께 사용되었다는 특징을 단서로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중심으로 악장의 장르적 본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대왕(대왕)은 유(유)를 떠나 칠수(칠수), 저수(저수) 두 강을 건너고 심산(심산)을 넘어서 기산(기산)밑에 가서 살게 되었는데 유속(유속) 사람들은 그 덕(덕)을 사모하여 모두 대왕(대왕)을 따라 갔으니 따르는 사람이 많아서 칠저(칠저) 강변이 시장과 같았다.
다음엔 「용비어천가」에서 교술적 성격을 나타내는 몇 장을 지적해 보기로 하겠다
적인ㅅ서리예 가샤 적인이 외어늘 기산 올샴도 하 디시니
야인ㅅ서리예 가샤 야인이 외어늘 덕원 올샴도 하디시니 (제 4장)
( 공류(공류)가 유속(유속)에 터전을 닦고 그 구세손(구세손) 대왕(대왕)이 이곳에서 그 업(업)을 이어 있었는데 대왕(대왕) 때에 적인(적인)이 침범해 왔으므로 피폐(피폐)를 주고, 견마(견마)를 주고, 주옥(주옥)을 주어도 침범을 계속 하였다.악장용비어천가월인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을 통해 본 악장의 장르 본질.hwp( 28 )
다. 이와 같이 민심(민심)이 따르는 곳에 천심(천심)이 있는 것이다.) 허웅, 용비어천가, 정음사, 1986, pp.44~45. (이선자, 「용비어천가의 장르적 특징」,성균관대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1987, pp.24~25 재인용.)
칠저 움흘 후성…(dro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악장용비어천가월인
순서
中國 송과 고려 악장의 影響(영향)관계부터 조선 초까지 악장의 형성과정을 살펴 본 후, 세종 때부터 그 장르 범위가 넓어지고 무엇보다 훈민정음 창제와 더불어 국한문이 함께 사용되었다는 특징을 단서로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중심으로 악장의 장르적 본질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