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정신건강론] 자살에 대한 모든 것.hwp
① 남자: 45세에서 최고, 여자: 55세 이후 최고. ② 65세 이상의 자살 :- 자살율: 40/10만명 (75세 이상의 자살율은 그 이하 연령의 자살율의 3배이다. (2) 미혼의 독신은 기혼자 보다 자살율이 2배(3) 이혼한 독신은 미혼의 독신 보다 자살율이 훨씬 높다.(3) 우울증을 유발하는 약물 (자살 유도 가능) : 스테로이드제, 고혈압치료제, 항암제 등(4) 자살과 관련된 신체질환 example(사례)
:i) 암 : (여성) 유방암, 생식기암ii) 7 중추신경계 질환 : 간질, 다발성 경화증, 두뇌 손상, 심혈관계 질환, 헌팅턴씨 병, 치매, 에이즈(AIDS)--- 모두 기분장애가 연관될 수 있다아iii) 3 내분비성 질환 : 쿠싱씨 병(Cushing`s ds),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s syndrom), Porphyria --- 모두 기분장애가 연관될 수 있다아iv) 2 위장관 질환 : 소화성 궤양, 간경화v) 2 생식비뇨기 질환 : 전립선 비대증, 신장투석을 받는 신장질환10) 정신 건강(1) 자살 기도하는 이의 95%가 정신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다아(2) 우울증(80%) >정신분열증(10%) >치매, 섬망(5%): 정신과 환자들 가운데 25%는 알콜 의존 -> 이중 진단(3) 연령에 따라 자살자의 정신과 진단이 차이30세 이하 : 물질 남용, 반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정신건강론] 자살에 대한 모든 것 , [정신건강론] 자살에 대한 모든 것인문사회레포트 , 정신건강론 자살 모든 것
[정신건강론] 자살에 대한 모든 것
[정신건강론] 자살에 대한 모든 것
다. 일(직업)이 자살을 예방하는 결과
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자살 기도는 젊은 연령에 비해 오히려 적지만 성공률이 높다.※ 기일 자살 - 이전에 가족이 죽었던 날에 자살 7) 직업(1)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율이 높다.
정신건강론,자살,모든,것,인문사회,레포트
설명
Download : [정신건강론] 자살에 대한 모든 것.hwp( 70 )
자살에 대한 모든 것
?
?
?
1. 정의(定義) 1. 자살에 대한 확실한 정의(定義)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스스로 가하는 죽음` 라고 볼 수 있다: 1) 자살은 무작위적이거나 목적이 없는 행동이 아니라 강렬한 고통을 초래하는 문제 혹은 위기로부터 탈출하고자 하는 방법이다.(2) 자살 성공 : 남자가 3배 정도 많다.(2) 실직자 >취직자(3) 자살은 전문직에 많다 : 의사, 음악가, 치과의사, 수사관, 법조인, insurance대리인(4) 의사의 자살율이 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왔다.5) 종교: 천주교가 개신교나 유대교보다 자살율이 낮다.2) Suicide : Sui(自己, 自身) + Caedo(죽인다)2. 정의(定義)1) Durkheim(1987) : 그의 행위가 어떠한 결과를 낳으리라는 것을 알면서 희생자 자신이 행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행위로부터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초래되는 죽음2) Edwin Shneidman: Conscious act of self-induced annihilation, best understood as a multidemensional malaise, in a needful individual who defined an issue for which the act is perceived as the best solution3. 자살의 단계1) 아급성단계 : 빈번한 자살위협(제스쳐) → 치명도 낮음 (예: 자살 시도)2) 급성단계 : 완전한 자살(직접적인 행위) → 매우 치명적 (예: 음독, 총기사용)3) 만성단계 :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환에 대한 의학적 진료를 거부, 비만, 알콜중독, 흡연, 약물 남용2. 역학 1. 발생율과 유병율1) 미국 자살율 12.5/10만명, 미국 8번째 사망 요인 : 자살율은 비교적 일정, 미국의 자살율은 선진국들 중 중간2) 자살 기도는 자살 성공(3만명/년)의 8-10배 많다 : 즉 자살 기도의 10%만 자살에 성공3) 자살 기도 후 2년 이내, 특히 3개월 이내가 자살 위험이 가장 높다.6) 결혼 상태(1) 결혼하고 자식까지 있는 경우는 자살율이 낮다.2) 자살 방법(1) 남자 : 총기, 목매달기, 투신 (남자의 자살 성공률이 높은 이유가 바로 방법때문이다) (2) 여자 : 향정신성약물 과다복용, 음독3) 연령(1) 연령에 따라 자살율이 증가한다.① 최근 연구에 의하면 남자의 경우, 미국은 일반 인구와 큰 차이가 없지만 영국이나 스칸디나비아의 경우는 일반 인구의 2-3배② 여자의 경우는 자살율이 41/10만으로 (25세이상) 일반 인구의 3배③ 2대 정신과 질환 : 우울장애, 약물의존 (과거 3대 질환이라고 했을 때는 알콜중독 포함) ④ 정신과의사 >안과의사 >마취과의사 (최근에는 평준화되는 경향)(5) 전쟁시에도 자살은 감소8) 기후: 계절적인 관련은 없고, 단지 봄과 가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아9) 육체적인 건강 --- 자살과 밀접한 관련!(1) 과거의 신체질환 진료가 자살 위험성과 상관관계를 보임. (위험 징후)(2) 거동 제한, 외모 손상, 만성의 난치성 통증, 질환으로인한 이차적 effect(대인관계 단절, 실직 등), 약물 부작용등이 자살에 기여하는 주요 인자들이다.6) 세계에서 가장 자살이 많이 일어나는 장소 : San Francisco, Golden Gate Bridge7) 자살은 인간의 10대 사망 요인 중의 하나, 한국의 경우는 9번째 사망 요인/한국의 자살율은 세계 2위 2. 관련 인자1) 성별(1) 자살 기도 : 여자가 4배 정도 많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수준이 아주 낮아져도 자살율은 증가한다.5) 진단 : 전체적으로는 기분장애(우울증, 조울증 등)가 가장 많고, 정신병원 입원환자에서는 정신분열증이 가장 많다.(4) 자살의 가족력이 있고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에서 자살율이 높다.4) 인종(1) 백인이 유색인종 보다 자살율이 2배(2) 이민이 본토인보다 자살율이 높다. - 인구는 전체의 10% 정도이나 전체 자살 인구의 25%를 차지한다(65세 이상). (2) 청년층의 자살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아① 남자 : 15~24세 사이의 자살율이 1970~1980 사이에 40% 증가② 여자 : 25~34세 사이의 자살율이 1970~1980 사이에 30% 증가 ▶ 사고사, 타살에 이어 자살이 15~24세 사이의 사망 요인 중의 3위.(3) 남자의 자살은 2개의 봉우리를 가짐 : 15-25,60세 이후 남자는 노년기에 자살율이 증가하는 반면, 여자는 감소한다.4) 핵가족, 도시(인구밀집지역), 봄, 월/화요일, 음독 자살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