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기술]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 /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23:53
본문
Download :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hwp
우선 명치 가장 왼쪽에 트랜서듀서를 대고 그 각도를 될 수록 왼쪽으로 향하게 하고 좌엽의 외측연을 확인한다. B. 횡단스캔 주로 명치에서 간좌엽을 watch할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볼록형의 트랜서듀서로 하면 더욱 넓게 그릴 수가 있어서 CT와 비교해 보기 쉬운 advantage(장점) 이 있다 C. 종단스캔 환자를 바로 눕힌 상태에서 종단 스캔은 특히 선상 트랜서듀서인 경우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좌엽을 watch할 때는 종단스캔을 하는 것이 훨씬 낫다. D. 늑간스캔 우측 늑간스캔에서는 간문부에서 문맥우엽분지가 뻗어나온 단면이 기본이 되는 데 전분절 분지는 다시 앞쪽으로 나와 위쪽으로 향하는 전상분절(S8)분지와 담낭 쪽으로 향해서 약간 아래쪽을 향하는 전하분절(S5)분지로 나누어...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 A. 늑골직하 검사 간의 초음파영역에서 병변을 가장 놓치기 쉬운 부위는 간우엽의 dome 직하부위, 즉 간의 8분절(S8) 영역이므로 이 부위를 자세히 watch하기 위해서는 우선 늑골직하부위스캔을 할 때 트랜서듀서를 될 수 있으면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나서 차츰 각도를 내려주면 가장 간정맥(hepatic vein)의 주행과 일치하는 단면을 얻을 수 있다 다시 트랜서듀서의 각도를 아래로 움직이면 간문부에서 문맥이 우측지와 좌측지로 분지되는 단면이 나타난다. 트랜서듀서를 외측연에서 조금씩 안쪽으로 향햐게 하면 위(등쪽), 아래(배쪽) 2개의 문맥좌엽외분절분지의 단면이 나타난다.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 동아의대 최종철 검사방법 ...
설명





공과기술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 /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공과기술]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 /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 동아의대 최종철 검사방법 ...
Download :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hwp( 24 )
순서
개원의를 위한 간, 담도, 췌장 초음파의 실제 동아의대 최종철 검사방법 간 (Liver) 간은 늑골로 둘러싸여 있고 위쪽은 폐로 덮고 있으므로 초음파검사를 할 때는 그런 장애물을 피하면서 간 전체를 watch해야 하며 또한 초음파로 검사하기 힘든 부위를 검사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늑골직하 검사, 횡단스캔, 종단 스캔, 늑간스캔 등 4가지 검사를 이용하여 환자의 위치를 다양하게 change(변화)시키고 호흡을 조절하여 검사하여야 한다.